티스토리 뷰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특정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정기적인 작업을 예약하기 위해 작업 스케줄러를 활용하게 되는데요. 그런데 가끔씩, 분명히 설정해 둔 작업이 실행되지 않아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작업 스케줄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 스케줄러, 제대로 설정되어 있을까
작업 스케줄러가 실행되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설정 오류 때문일 수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를 열어 해당 작업을 찾아 꼼꼼하게 설정을 확인해 보세요. '일반' 탭에서는 작업 이름, 설명, 그리고 사용자 계정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가장 높은 수준의 권한으로 실행" 옵션이 필요한 작업이라면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트리거' 탭에서는 작업이 실행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지정했는지, 시작 날짜와 시간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동작' 탭에서는 실제로 실행될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가 정확하게 지정되어 있는지, 필요한 인수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계정 권한, 혹시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작업을 실행하는 계정에 필요한 권한이 없는 경우에도 작업 스케줄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에서 해당 작업을 선택하고 '일반' 탭으로 이동하여 '사용자 또는 그룹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고급' 버튼을 클릭한 후 '지금 찾기'를 눌러 현재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만약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이라면, '가장 높은 수준의 권한으로 실행' 옵션을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이렇게 계정 권한을 재설정하면 작업 스케줄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업 스케줄러 서비스, 켜져 있나요
윈도우 작업 스케줄러는 'Task Scheduler'라는 서비스에 의존합니다. 이 서비스가 중지되어 있다면 당연히 작업 스케줄러는 작동하지 않겠죠.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services.msc'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서비스 목록에서 'Task Scheduler'를 찾아 상태가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중지됨' 상태라면, 해당 서비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시작'을 선택합니다. 서비스를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하려면, 해당 서비스를 더블 클릭하고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해 주세요.
실행 기록, 실패 원인을 알려줄지도 몰라요
작업 스케줄러는 작업이 실행된 결과에 대한 기록을 남깁니다. 이 실행 기록을 확인하면 작업 실패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에서 해당 작업을 선택하고 '기록' 탭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작업이 실행된 시간, 결과 코드, 그리고 발생한 오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0x1' 오류는 잘못된 함수를 호출했음을 의미하고, '0x80070005' 오류는 액세스 거부를 의미합니다. 오류 메시지를 검색하여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찾아보세요.
백신 프로그램, 스케줄러를 막고 있지는 않나요
때로는 백신 프로그램이 작업 스케줄러의 작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의 실행을 차단하거나, 작업 스케줄러 자체를 의심스러운 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신 프로그램의 실시간 감시 기능을 잠시 끄고 작업 스케줄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백신 프로그램이 문제라면, 작업 스케줄러 또는 해당 프로그램을 예외 목록에 추가하여 차단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백신 프로그램의 감시 기능은 유지하면서 작업 스케줄러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업 스케줄러가 멈추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꼼꼼히 확인하고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면 분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혹시 해결이 어렵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커뮤니티나 관련 포럼에서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러분의 윈도우 생활이 더욱 편리해지기를 바랍니다!